본문 바로가기

공무원의 길

공무원 임용유예에 대하여 알아보자!

https://youtu.be/1-ODWwLiKXg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거나 합격하신 분들 중에서

빨리 공부를 해야했지만 합격 후 바로 일하기

힘든 분들이 많이 계시죠?

 

학교 졸업이나 군대 등 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요

그런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임용유예의 신청 기간, 가능 요건 등

임용유예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 드릴게요!!

 

먼저 임용유예의 신청 기간에 대해 알아볼까요?

유예를 신청하는 기간은 언제일까요?

최종 합격자 발표가 났을 때? 필기 합격 후?

 

아니랍니다! 임용유예는 자신이 근무하게 될 부서에

배치를 받은 후 신청 하게 돼요!

 

따라서 최종 합격자 발표 후 임용유예 신청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걸려요!

 

과정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먼저 최종합격자 발표 후

채용 후보자 등록을 하게 되는데

 

 

그 후 부처 배치가 되고 해당 부처에서 연락이 오면

임용유예 의사를 밝히고 증빙 서류를 제출하면 돼요!

 

그렇다면 임용유예가 가능한 요건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마땅한 사유가 아니라면 불가능하겠죠?

 

게다가 마땅한 사유라고 하더라도

모든 사유를 증빙 서류를 통해 증명할 수 있어야 해요

 

군 입대를 해야 하거나 남은 군 복무를 마쳐야 하는 경우,

대학 학기가 남아 있어 학업을 지속하고 싶은 경우도 있고

 

질병에 의해 6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하거나

임신 또는 출산을 한 경우,

임용 추천의 유예, 유예가 부득이하다고 인정되는 경우가 돼요

 

유예를 증빙하는 서류와 함께 유예 신청서를 작성하여

해당 배치 부서에 정해진 기간까지 제출하시면 된답니다!

 

하지만 자신이 사유에 해당된다고 하여

무조건적으로 해서는 안되겠죠?

 

당연히 학업 등으로 유예를 하게 되면

시험 동기보다 임용이 늦어지고 진급에서 뒤처질 수 있어요

그렇게 최대 2년까지의 유예 기간을 마치고

철회를 하고자 한다면 증빙서류와 철회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돼요

 

오늘은 이렇게 임용유예에 대해 낱낱이 알아봤어요

본인이 합격을 한 후에도 업무를 할 수 없는 사정이 있다면

고려해볼만 하죠!?

 

아직도 구독과 좋아요를 안 눌러주셨다면

늦지 않았어요! 지금 꾹!